운영체계
재난상황별 근무체계
구 분 | 근무기준 | 근무편성 | |
---|---|---|---|
자연재난 | 상시대비 | · 평상시 | · 익산시 재난안전상황실 근무자 : 2명 (관련부서 1명, 시민안전과 1명) |
사전대비 | · 호우·대설 예비특보 발표 · 폭염·한파 특보 발표 · 강풍특보 발표 · 태풍 진로 발표 |
· 총괄 : 시민안전과장 · 재난안전상황실 근무자 : 2명 · 시민안전과 : 2명(자연재난계) |
|
비상 1단계 | · 호우·대설 주의보 발표 · 태풍 예비특보 발표 · 지진규모 4.0~4.9 발생 (해역은 4.5 이상) |
· 총괄 : 기획안전국장 · 실무반 : 13개반 소집근무 · 읍․면․동 및 관계 재난관리책임기관 근무 |
|
비상 2단계 | · 호우·대설 경보 발표 · 태풍 주의보·경보 발표 · 국지적으로 극심한 피해 발생 가능성이 있거나 발생한 경우 · 지진규모 5.0 이상 발생 (해역은 5.5 이상) |
· 총괄 : 부시장 · 실무반 : 13개반 소집근무 · 읍․면․동 및 관계 재난관리책임기관 근무 |
|
비상 3단계 | · 대규모 피해 발생 가능성이 있거나 발생한 경우 | · 총괄 : 시장 · 실무반 : 13개반 소집근무 · 읍․면․동 및 관계 재난관리책임기관 근무 · 전직원 1/2 근무 |
|
사회재난 | 가. 재난분야 위기관리매뉴얼(현장조치행동매뉴얼)상 위험수준이 경계 또는
심각단계에 이른 경우 나. 중앙사고수습본부 또는 중앙대책본부가 운영되는 경우 다. 상황판단회의 결과 대책본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한 경우 |
· 총괄 : 시장 · 실무반 : 13개반 소집근무 · 읍․면․동 및 관계 재난관리책임기관 근무 |
비고 : 재난상황별 상황판단회의 결과에 따라 비상단계의 기준을 조정·운영할 수 있다.
재난수습 부서
재난 유형 | 사고 유형 | 주관 부처 | 주관 부서 |
---|---|---|---|
자연재난 (4) | ① 풍수해 | 행정안전부 | 시민안전과 |
② 지진 | 행정안전부 | 시민안전과 | |
③ 대형화산 폭발 | 행정안전부 | 시민안전과 | |
④ 적조 | 해양수산부 | - | |
사회재난 (26) | ⑤ 산불 | 산림청 | 산림과 |
⑥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| 환경부 | 환경관리과 | |
⑦ 대규모 수질오염 | 환경부 | 환경관리과 | |
⑧ 대규모 해양오염 | 해양수산부 | - | |
⑨ 공동구 재난 |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|
시민안전과 | |
⑩ 댐 붕괴 | 국토교통부 산업통산자원부 |
바이오농업과 | |
⑪ 지하철 대형사고 | 국토교통부 | - | |
⑫ 고속철도 대형사고 | 국토교통부 | 교통행정과 | |
⑬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| 행정안전부 | 시민안전과 | |
⑭ 인접국가 방사능누출 | 원자력안전위원회 | 미래산업과 | |
⑮ 해양선박 사고 | 해양수산부 | - | |
⑯ 사업장대규모 인적사고 | 고용노동부 | 기업일자리과 | |
⑰ 다중밀집 건축물 붕괴 대형사고 | 국토교통부 | 주택과 | |
⑱ 교정시설 재난및사고 | 법무부 | - | |
⑲ 가축질병 | 농림축산식품부 | 축산과 | |
⑳ 감염병 | 보건복지부 | 보건지원과 | |
㉑ 정보통신 | 과학기술정보통신부 | 스마트정보과 | |
㉒ 금융전산 | 금융위원회 | 기획예산과 | |
㉓ 원전안전 | 원자력안전위원회 산업통산자원부 |
미래산업과 | |
㉔ 전력 | 산업통산자원부 | 미래산업과 | |
㉕ 원유수급 | 산업통산자원부 | 미래산업과 | |
㉖ 보건의료 | 보건복지부 | 보건지원과 | |
㉗ 식용수 | 환경부 국토교통부 |
상수도과 | |
㉘ 육상화물운송 | 국토교통부 | 교통행정과 | |
㉙ GPS전파혼신 | 과학기술정보통신부 | 스마트정보과 | |
㉚ 우주전파재난 | 과학기술정보통신부 | 스마트정보과 |